| 컨퍼런스 | 인공지능과 관련된 ’25년 융합예술 분야를 관통하는 주제에 대한 담론 공유 |
|---|---|
| 컨퍼런스 I | [기조발제] AI시대, 창작자란 누구인가? [패널토크1] AI와 포스트휴머니즘 : 기술과 인간의 창작 프로토콜 [패널토크2] AI 탈식민화: AI는 편향적 도구인가? [렉처] 알고리즘 너머의 창작(Creativity Beyond the Algorithm) [패널토크3] 내일을 위한 지원 : 융합예술기관 협의체 토크 |
| 컨퍼런스 II | [기조발제] 예술기업이 주목해야 할 변화의 흐름 [패널토크1] 예술을 돋보이게 하는 법: AI 브랜딩 전략 [패널토크2] 프롬프트 이코노미 시대: 생성형 AI와 예술기업의 새 비지니스 모델 [패널토크3] AI로 찾는 K-아트의 글로벌 진화 |
| (협력) 컨퍼런스 Signal On Sale행사 자세히보기 | [시각예술본부 해외진출팀] 쇼케이스&컨퍼런스 Signal On Sale |
| 피칭 어워즈 | 예술과의 융합을 통해 사업화를 희망하는 단체 발굴 및 시상 |
|---|---|
| 피칭 어워즈 | [기술융합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8개 기업 [대학연계 아트&테크 창업 활성화 지원] 서강대학교(3팀), 계명대학교(3팀) |
| 투어 프로그램 |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 아트코리아랩 도슨트 투어로 안내합니다. |
|---|---|
| 도슨트 투어 (공간 투어 및 작품 안내, 45분) | 단순한 공간 안내를 넘어, 전시 작품들을 도슨트와 함께 돌아보며, 예술이 어떻게 기술과 만나 새로운 가치로 확장되는지, 그리고 창작의 과정이 어떻게 하나의 경험이 되는지 직접 체험하는 여정입니다. * 11.12.(수), 13.(목), 14.(금) 13시, 16시 사전등록 필수 |
| 체험 프로그램 | AR 스탬프 투어(협력 : 입주기업 주식회사 팀펄) |
|---|---|
| AR 스탬프 투어 | 아트코리아랩 페스티벌을 입주기업 '팀펄'의 마스코트, 피어리와 함께 탐험하세요! 전시와 공연을 관람하고, 컨퍼런스를 듣고, 네트워킹을 하며 페스티벌을 즐기세요! |
컨퍼런스에서는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창작의 패러다임을 탐구합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플랫폼 등 기술의 진화는 예술의 창작 과정과 개념적 사고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동시에 예술가의 역할을 생산자이자 기획자, 나아가 시스템과 협업하는 공동 창작자로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컨퍼런스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예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적·경제적 구조와 맞물려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인공지능 시대의 창작 프로토콜과 예술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예술의 확장된 경제적·문화적 역할을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 예술의 본질적 창의성과 기술적 혁신이 공존하는 미래의 방향을 모색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AI 기술이 예술의 창작 과정과 개념적 사고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번 세션은 ‘창작자란 누구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해, 인간과 기술이 공진화하는 시대의 창작 프로토콜을 탐구한다. 예술가, 큐레이터, 기술자,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예술과 기술의 접점을 다각도로 조망하며, 윤리적·철학적·실천적 관점에서 융합예술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한다.
| 일시 | 주제 | 장소 |
|---|---|---|
|
11:00-12:00
[기조발제]
|
AI시대, 창작자란 누구인가? (Who is the Creator in the Age of AI) 인공지능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인간의 창의적 영역에 깊숙이 들어온 지금, 창작의 주체는 여전히 인간인가? 혹은, 인간과 인공지능이 새로운 형태의 ‘공동 창작자 (co-creator)’로 진화하고 있는가? 인공지능 시대에 변화하는 창작자와 창작 행위의 근원적 지점에 대해 화두를 던진다. |
(6F) AKL 아고라 |
| 13:00-14:15 [패널토크1] |
AI와 포스트휴머니즘 : 기술과 인간의 창작 프로토콜 (AI and Posthumanism: Rethinking Creative Protocols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인공지능, 로봇, 데이터 시스템 등과의 협업이 일상화된 오늘날, 창작자의 개념은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단계로 확장되고 있다. 이 세션은 기술과 인간이 상호 작용하며 만들어내는 창작의 구조를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예술에서의 창의성과 주체성은 이제 더 이상 한쪽에 귀속되지 않으며, 인간과 AI가 공동으로 구축하는 창작 프로토콜은 협업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패널토크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예술의 창작 체계가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를 다각도로 살펴본다. |
(6F) AKL 아고라 |
| 14:30-15:45 [패널토크2] |
AI 탈식민화: AI는 편향적 도구인가? (Decolonizing AI: A Biased Tool or a Chance for Change?) AI 탈식민화를 화두로, 인공지능이 내포한 구조적 편향성과 데이터의 불균형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본 세션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성을 확장하는 도구로 작동하는 동시에, 특정 문화와 권력 체계에 종속된 기술적 산물이 될 수 있음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데이터의 식민성과 알고리즘의 권력, 그리고 예술의 저항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AI의 사회적 작동 원리를 분석하며, 예술과 사회가 인공지능을 새로운 공동 창작자로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탈식민적 시각과 실천적 재설계의 방향을 모색한다. |
(6F) AKL 아고라 |
| 16:00-17:00 [렉처] |
알고리즘 너머의 창작 (Creativity Beyond the Algorithm) 디지털 아티스트 Boldtron은 상상력, 기술, 머신러닝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AI 보조 창작’의 진화를 탐구한다. 전통적인 CGI 기반의 시각 제작에서 시작해, 생성형 모델과 실시간 AI 렌더링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창작으로 확장된 그의 여정은 ‘창작’의 개념이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번 렉처는 수작업에서 알고리즘과의 협업으로 옮겨가는 창작의 변화를 짚으며, 데이터셋 트레이닝과 미학적 제어, 후반 보정까지 이어지는 예술적 프로세스를 통해 AI가 예술의 기술적 한계를 넘어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방식을 탐색한다. 나아가 Boldtron은 픽셀이 아닌 프롬프트로부터 이미지가 태어나는 시대, 인간과 인공지능이 공동 창작자(co-creator)로서 만들어가는 새로운 시각 언어를 제시하며, 예술성과 기술, 그리고 상상력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창작의 미래를 그린다 |
(6F) AKL 아고라 |
| 17:15-18:15 [패널토크3] |
내일을 위한 지원 : 융합예술기관 협의체 토크 융합예술기관 협의체 참여 기관들이 모여 창제작과 기술, 정책의 교차점을 논의하며 2026년 인공지능과 예술의 융합을 중심으로 하는 사업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
(6F) AKL 아고라 |
기조발제ㅣ AI시대, 창작자란 누구인가?
강이연
미디어 아티스트,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 석좌교수
기조발제자
한국
패널토크 1 | AI와 포스트휴머니즘 : 기술과 인간의 창작 프로토콜
장진택(Jang Jintaeg)
독립 큐레이터, 동시대 예술 연구자
모더레이터
한국
클라우딕스 바네식스(Claudix Vanesix)
퍼포먼스 & XR 아티스트
발제
페루(프랑스)
모니크 치앙(Monique Chiang, 蔣孟涵)
Dimension Plus 프로듀서
발제
대만/홍콩
김주형(Kim JooHyung)
UIUC 전기컴퓨터공학과, 기계공학과 부교수
발제
한국
노진아(Roh JinAh)
아티스트, 경희대 미술대학 부교수
발제
한국
패널토크 2 | AI 탈식민화: AI는 편향적 도구인가?
김재인(Kim JaeYin)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교수
모더레이터
한국
이창희(ChangHee Lee)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카이스트 우주연구원, 인공지능연구소 겸임교수
발제
한국

그레고리 샤톤스키(Gregory Chatonsky)
Feral's school 공동 디렉터
발제
독일
아네뜨 비에우스(Annette Vieusseux)
Now or Never 디렉터
발제
한국

미칼라 힐디그 달(Mikala Hyldig Dal)
Macromedia University Berlin 겸임교수
발제
한국
렉처ㅣ Creativity Beyond the Algorithm
볼드트론(Boldtron)
디지털 아트 듀오 - 하비에르 카르도나(Xavier Cardona)& 다니엘 카르도나(Daniel Cardona)
스페인
패널토크 3 | 내일을 위한 지원 : 융합예술기관 협의체 토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문화재단
예술경영지원센터
현대차 제로원
컨퍼런스에서는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창작의 패러다임을 탐구합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플랫폼 등 기술의 진화는 예술의 창작 과정과 개념적 사고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동시에 예술가의 역할을 생산자이자 기획자, 나아가 시스템과 협업하는 공동 창작자로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컨퍼런스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예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적·경제적 구조와 맞물려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인공지능 시대의 창작 프로토콜과 예술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예술의 확장된 경제적·문화적 역할을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 예술의 본질적 창의성과 기술적 혁신이 공존하는 미래의 방향을 모색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예술은 더 이상 창작자 개인의 표현에만 머물지 않는다. 기술, 플랫폼, 시장이 얽힌 복합 생태계 속에서 예술가는 생산자이자 기획자, 동시에 기업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세션은 생성형 AI와 예술기업의 만남이 불러오는 구조적 변화에 주목하며, 예술의 경제적·기술적 확장 가능성을 탐색한다.
| 일시 | 주제 | 장소 |
|---|---|---|
|
13:00-13:45
[기조발제]
|
예술기업이 주목해야 할 변화의 흐름과 미래 가능성 (Shaping the Future: Emerging Trends and Possibilities for Art Enterprises) 예술산업과 기술시장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는 지금, 예술기업은 그 변화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전략적 시야와 실행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AI 전환기에 대응하는 예술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창작과 기술투자의 결합, 그리고 콘텐츠 유통 구조의 재편 과정을 다룬다. 더불어 기관과 산업의 협업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예술 생태계의 구조를 조망하며, 예술기업이 미래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창의적 주체로 자리 잡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
(6F) AKL 아고라 |
| 14:00-15:15 [패널토크1] |
예술을 돋보이게 하는 법: AI 브랜딩 전략 (Making Art Stand Out: AI-Driven Branding Strategies) AI 기반 데이터 분석이 예술의 홍보와 브랜딩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본 세션은 AI가 예술 마케팅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현장에서 감성적 연결과 비즈니스 성과를 동시에 창출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알고리즘이 형성하는 예술 소비 패턴과 추천 구조, AI 도구를 활용한 콘텐츠 브랜딩과 홍보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과 브랜드 협업에서 데이터 활용의 윤리적 기준과 책임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을 모색한다. |
(6F) AKL 아고라 |
| 15:30-16:45 [패널토크2] |
프롬프트 이코노미 시대: 생성형 AI와 예술기업의 새 비지니스 모델 (The Prompt Economy: Generative AI and New Business Models for Art Companies) 생성형 AI의 확산은 예술의 창작 과정뿐 아니라 산업화의 구조 전반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 세션은 예술기업이 생성형 기술을 기반으로 창작 자동화, 데이터 자산화, 그리고 플랫폼 중심의 협업 생태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프롬프트 이코노미 속에서 예술기업이 기술적 창의성과 기업적 전략을 결합한 새로운 산업 주체로 진화하는 가능성을 다각도로 논의한다. |
(6F) AKL 아고라 |
| 17:00-18:15 [패널토크3] |
AI로 찾는 K-아트의 글로벌 진화 (K-Art on the Global Stage: Evolving Through AI) AI와 데이터 기반의 예술 생태계는 K-아트를 글로벌 시장의 중심으로 이끌고 있다. 본 세션은 AI를 매개로 한 예술의 국제 유통, 플랫폼 협업, 테크 기업과의 공동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K-아트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한다. 데이터 아카이빙, AI 기반 추천 시스템, 전시 기획, 음악과 게임 콘텐츠로의 확장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문화·예술·기술이 융합된 K-아트의 글로벌 협업 모델을 조명한다. |
(6F) AKL 아고라 |
기조발제ㅣ 예술기업이 주목해야 할 변화의 흐름과 미래 가능성
샘 로튼(Sam Lawton)
Creative Lab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기조발제
미국
패널토크 1 | 예술을 돋보이게 하는 법: AI 브랜딩 전략
차우진
대중문화 평론가
모더레이터
한국
폴라 비바스(Paula Vivas)
Freepik 미국 마케팅 총괄
발제
미국
샘 로튼(Sam Lawton)
Creative Lab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발제
미국
정범진
VCAT.AI 대표
발제
한국
고영혁
ADA 코리아 대표
발제
한국
패널토크 2 | 프롬프트 이코노미 시대: 생성형 AI와 예술기업의 새 비지니스 모델
오영진
서울과학기술대 융합교양학부 교수
모더레이터
한국
아흐메드 엘기말(Ahmed Elgammal)
Playform CEO
발제
튀르키예

자이바 잽바(Zaiba Jabbar)
HERVISIONS 설립자
발제
영국
최소영
데일리 프롬프트 대표
발제
한국

김광집
스튜디오 메타케이 대표
발제
한국
패널토크 3 | AI로 찾는 K-아트의 글로벌 진화
이혜원
기어이 대표
모더레이터
한국
프레드 볼휘어(Fred Volhuer)
Atlas V CEO
발제
프랑스
크리스타 킴(Krista Kim)
디지털 아티스트
발제
미국
이종필
뉴튠 대표
발제
한국
김민현
커먼 컴퓨터 대표
발제
한국
컨퍼런스에서는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창작의 패러다임을 탐구합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플랫폼 등 기술의 진화는 예술의 창작 과정과 개념적 사고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동시에 예술가의 역할을 생산자이자 기획자, 나아가 시스템과 협업하는 공동 창작자로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컨퍼런스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예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적·경제적 구조와 맞물려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인공지능 시대의 창작 프로토콜과 예술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예술의 확장된 경제적·문화적 역할을 다각도로 조명함으로써, 예술의 본질적 창의성과 기술적 혁신이 공존하는 미래의 방향을 모색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 일시 | 주제 | 장소 |
|---|---|---|
|
11:00-19:00
|
디지털 아트 컨퍼런스 Signal On Sale 지속가능한 디지털아트 생태계 구축을 위한 새로운 문법과 전략을 토대로 국내외 화랑, 작가, 미술관이 참여하는 컨퍼런스 |
(6F) AKL 아고라 |
피칭 어워즈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혁신적 사업모델을 제시하는 창작자와 팀을 조명하는 무대입니다. 본 프로그램은 관련 지원사업을 통해 개발된 결과물을 피칭 형식으로 공유하며, 가장 뛰어난 비전과 실현 가능성을 갖춘 우수팀을 선정함으로써 미래 예술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굴하고자 합니다. 창조적 아이디어가 현실의 가치로 확장되는 순간, 예술과 기술이 만나 새로운 시장과 경험을 창출하는 이곳에서 우수한 역량의 사업모델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전시는 예술과 기술이 만나 새로운 미래를 실험하고 확장하는 장입니다. 창제작 전시는 국내외 작가들의 실험적 시도와 아직 이름 붙여지지 않은 감각과 형식을 탐구하고, 사업화 전시에서는 예술이 산업과 융합하여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만들어가는 여정을 담아냅니다. 오픈 스튜디오는 입주·멤버십 기업의 사업을 직접 경험하며,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는 순간을 함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세 전시는 예술을 통한 미래의 확장이라는 아트코리아랩의 비전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며, 예술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조망합니다.
창제작 전시는 완성된 결과물보다 ‘실험의 흔적’에 주목하며, 연구와 시도가 뒤섞인 창작 과정 그 자체의 가치를 조명합니다. 창제작 전시는 ‘예술기술 융합 수퍼 테스트베드 후속지원 사업’과 ‘예술기술 신규분야 개척 지원 사업’은 예술가에게 미지의 영역을 탐구할 수 있는 실험의 장을 제공하고, ‘스페인 Sónar+D 참여 지원 사업’과 ‘프랑스 NewImages Festival 참여 지원 사업’은 국내에서 시작된 실험을 해외 무대로 확장하며 글로벌 예술·기술 담론과 교류를 이어갑니다. 또한 페스티벌의 주제와 맞닿은 해외 초청 작가들의 작품을 함께 선보이며, 국경을 넘어 공유되는 예술·기술 실험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조망합니다. 예술과 기술이 서로를 탐색하며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능성의 순간들. 아직 이름 붙여지지 않은 창작의 여정이 여러분에게도 새로운 질문과 영감이 되기를 바랍니다.
* 전시는 아트코리아랩 페스티벌 기간 전일 운영됩니다.
| 작가/작품명 | 장소 |
|---|---|
클라우딕스 바네식스(Claudix Vanesix), 〈XENOCENO : A MANIFESTO IN MOTION〉 ![]() |
(1F) 카르디아 |
로렌스 렉(Lawrence Lek), 〈Guanyin(Confessions of a Former Carebot)〉 ![]() |
(B1F) 시연장 B+C |
그레고리 샤톤스키(Gregory Chatonsky), 〈Completion 1.0〉 ![]() |
(B1F) 시연장 D |
볼드트론(BOLDTRON), 〈The Vault of Wonders: Chapter 1 – The Abyssal Unseen〉 ![]() |
(B1F) 미디어월 |
| 작가/작품명 | 장소 |
|---|---|
기어이, 〈이머시브 궁〉 *사전 등록 프로그램 ![]() |
(6F) 쇼룸 |
아키버스 스튜디오, 〈XR판소리: 네발은 좋고 두발은 나쁘다〉 *사전 등록 프로그램 ![]() ![]() |
(6F) 강의실 B |
인간공장 x 노진아, 〈Pseudo Flesh〉 ![]() ![]() ![]() |
(B1F) 시연장 B+C |
뉴튠, 〈믹스오디오〉 ![]() |
(B1F) 시연장 B+C |
김태은, 〈Meta Farming〉 ![]() |
(6F) 톡톡룸, 복도 |
도예린, 〈아세아 전자동굴 VR〉 ![]() |
(6F) 톡톡룸, 복도 |
유지미, 〈Cutting Nipple Challenge〉 *사전 등록 프로그램 |
(6F) 톡톡룸, 복도 |
식스도파민, 〈'너'로댄스〉 *사전 등록 프로그램 ![]() |
(B1F) 시연장 A |
김지수, 〈Buy, bye My X〉 *사전 등록 프로그램 ![]() |
(B1F) 시연장 A |
렙톤 (류필립/후니다킴/박다희), 〈사운드 오르비트 .typedef〉 ![]() |
(B1F) 시연장 B+C |
양정은, 〈[ ]을 만족시킬 네모로의 초대〉 ![]() |
(B1F) 시연장 B+C |
도재인, 〈심겨져 갈때〉 ![]() |
(B1F) 시연장 D |
콜렉티브 남산전골, 〈플라스피어〉 ![]() |
(B1F) 키네틱스튜디오 |
전시는 예술과 기술이 만나 새로운 미래를 실험하고 확장하는 장입니다. 창제작 전시는 국내외 작가들의 실험적 시도와 아직 이름 붙여지지 않은 감각과 형식을 탐구하고, 사업화 전시에서는 예술이 산업과 융합하여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만들어가는 여정을 담아냅니다. 오픈 스튜디오는 입주·멤버십 기업의 사업을 직접 경험하며, 아이디어가 현실이 되는 순간을 함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세 전시는 예술을 통한 미래의 확장이라는 아트코리아랩의 비전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며, 예술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조망합니다.
예술은 더 이상 감상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기술과 만나 새로운 산업으로 진화하고,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창출하는 미래 산업의 동력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업화 전시는 2025년 '기술융합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사업'과 '대학연계 아트&테크 창업 활성화 지원 사업'의 성과, '예술산업아카데미 창업교육 창업경진대회' 우수팀의 사업아이템을 한자리에서 소개합니다. '기술융합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사업'은 예술기업과 선도기업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실험하고, '대학연계 아트&테크 창업 활성화 지원 사업'은 대학(원) 내 창의적 아이디어를 교육과 사업화로 연결하며 '예술산업아카데미 창업교육'은 예술창업가를 전문적으로 육성해, 예술산업의 지속 가능한 확장을 돕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예술성과 사업성을 함께 고민한 다양한 창의적 제품과 서비스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예술의 상상력과 기술의 혁신이 만나 만들어내는 새로운 산업의 미래를 함께 경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전시는 아트코리아랩 페스티벌 기간 전일 운영됩니다.
| 작가/작품명 | 장소 |
|---|---|
| 계명대학교 세라텍, 〈수분 섭취량을 알려주는 스위블머그(Swivel Mug)〉 |
(6F) 강의실 B |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오이조림, 〈차움: 새로운 다례의 장〉 |
(6F) 강의실 B |
| 경희대학교 chapter, 〈라이프 매거진〉 |
(6F) 강의실 B |
| 서강대학교 UDN STUDIOS, 〈XR 패션쇼〉 |
(6F) 강의실 B |
| 성결대학교 0zone, 〈심포니아 : 신들의 파편〉 |
(6F) 강의실 B |
| 작가/작품명 | 장소 |
|---|---|
| 무아엔터테인먼트, 〈AI × AI – Artist I meet Artificial Intelligence〉 |
(6F) 강의실 A |
| 피크웍스, 〈마이스터 더 플로우〉 |
(6F) 강의실 A |
| 밀레니얼웍스, 〈더 넥스트 아이돌 위드 나이비스〉 |
(6F) 강의실 A |
| 뉴엑스피어, 〈Aigora : 차세대 몰입형 AI 기업교육 솔루션〉 |
(6F) 강의실 A |
| 델로, 〈IP와 예술을 결합한 “모먼트박스” 굿즈 개발〉 |
(6F) 강의실 A |
| 식스도파민, 〈책임음주 캠페인 팝업스토어〉 |
(6F) 강의실 A |
| 움직이는조형연구소B, 〈우주시간장치 – 움직이는 조형 오브제〉 |
(6F) 강의실 A |
| 오마이어스, 〈핑크버블 탄생과 플라스틱 여정〉 |
(6F) 강의실 A |
| 작가/작품명 | 장소 |
|---|---|
| 파인다이닝 씨어터, 〈시범 운영 영상, 공연 영상, 오브제 전시〉 |
(6F) 강의실 A |
| 까사씨네마,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 활동 사진과 함께 꾸민 공간사진〉 |
(6F) 강의실 A |
| 사운드컬쳐, 〈에브리슬립〉 |
(6F) 강의실 A |
오픈 스튜디오는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며 새로운 산업적 가능성을 실험하는 현장입니다. 한 해 동안 입주기업, 단기 입주기업, 멤버십 기업들이 축적한 창작과 연구의 성과가 이 자리에서 펼쳐집니다. 평소에는 닫혀 있던 사무 공간을 직접 둘러보며, 책상 위 시제품부터 진행 중인 아트&테크 프로젝트, 창작의 열기가 가득한 작업 현장까지, 아이디어가 현실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습니다. 예술과 기술의 융합 실험, AI 기반 창작, 새로운 유통 방식의 시도들은 아트코리아랩이 제공한 공간과 인프라를 발판 삼아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이곳은 예술가와 예술기업이 서로 만나고 교류하며, 창작의 영역을 넓히는 장입니다. 예술이 사회와 연결되는 방식, 그리고 산업으로 확장되는 흐름을 함께 모색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예술과 기업이 함께 만들어가는 혁신의 흐름, 그 미래를 아트코리아랩 오픈 스튜디오에서 경험해 보시길 바랍니다.
| 일시 | 오픈 스튜디오 장소 |
|---|---|
| 11.11.(화/TUE) ~ 11.14.(금/Fri) 13:00-18:00 *집중 응대시간 16:00-18:00 |
(16F) 16층 입주기업 사무실, 회화&오브제 ZONE, 퍼포먼스 비디오 ZONE (17F) 17층 입주기업 사무실, 플랫폼·서비스 ZONE, AI ZONE, VR ZONE, 퍼포먼스 ZONE * 이치실험실(극인단이치)의 퍼포먼스 〈인간을 기다리며〉는 전시기간 동안 매일 10분간(17:00–17:10) 진행됩니다. |
예술과 기술의 경계가 사라지고, 새로운 창작 생태계가 태동하는 지금, 가치 있는 연결은 곧 미래의 가능성을 여는 열쇠입니다. 네트워킹 세션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국내외 예술가, 기업, 투자자, 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영감을 교류하고 협력의 기회를 탐색하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 개막공연은 별도 신청을 통해 관람 가능합니다.
| 일시 | 세부내용 | 장소 |
|---|---|---|
| 11.11.(화/Tue) 19:00-19:30 | [개막공연] 클라우딕스 바네식스(Claudix Vanesix) 〈XENOCENO : A MANIFESTO IN MOTION〉 ![]() |
(1F) 카르디아 |
| 11.11.(화/Tue) 19:30-21:00 | [AKL 나이트] 네트워킹 파티, DJ 공연 국내외 연사, 참여 예술가 및 기관 관계자 등이 함께 교류하는 네트워킹 |
(2F) 카르디아 |
예술과 기술의 경계가 사라지고, 새로운 창작 생태계가 태동하는 지금, 가치 있는 연결은 곧 미래의 가능성을 여는 열쇠입니다. 네트워킹 세션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국내외 예술가, 기업, 투자자, 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영감을 교류하고 협력의 기회를 탐색하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 비즈니스 밋업은 별도 신청을 통해 참여 가능합니다.
| 일시 | 세부내용 | 장소 |
|---|---|---|
| 11.13.(목/The) 18:30-20:00 | [비즈니스 밋업] 피칭어워드 및 오픈스튜디오와 연계되는 네트워킹으로, 입주기업부터 멤버십 기업, 그 외 예술기업, 투자자, VC, AC 등 예술산업 관련 유관 관계자들이 함께 하는 네트워킹 |
(6F) AKL 아고라 |
아트코리아랩 페스티벌을 입주기업 '팀펄'의 마스코트, 피어리와 함께 탐험하세요!
전시와 공연을 관람하고, 컨퍼런스를 듣고, 네트워킹을 하며 페스티벌을 즐기세요! 페스티벌의 곳곳에서 피어리를 만나실 수 있으며, 피어리를 모두 모으면 선물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